2027학년도 다산 초등학생 피아노 학원 대학 수학능력시험을 앞두고 수험생까지 같이 보는 모의고사가 오는 5월 6일 치러진다. 수능을 출제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하는 모의시험이라는 점과 24년 만에 시작되는 문·이과 통합 수능을 앞두고 N수생까지 합류하는 첫 시험이라는 점에서 ‘미니 수능에 이목이 주력된다. 통합 수능에서 문·이과 유불리와 고시생까지 가세할 경우 고3 고시생들에 미칠 영향이 과연 얼마만큼 더 커질지 관심이 높아진다.
평가원이 주관하는 기말고사는 매년 6월과 4월, 아홉 차례 시작된다. 지난 11월과 8월에 치러진 학력평가의 경우 서울시교육청과 경기도교육청이 주관한 데다가 고3 사람들만 본 시험이라는 점에서 8월 모의평가와는 다르다.
수능에 심한 고시생들과 다같이 보는 첫 시험이라는 점에서 이번 9월 7일 평가원 모의고사는 접수생들이 본인의 위치를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는 첫 시험이다. 교육청이 아닌 평가원에서 출제한다는 점에서 올해 수능 출제 경향과 난이도 등도 예측할 수 있다.
특별히 올해 수능은 지난 1995학년도 직후 28년 만에 문·이과 통합 수능으로 실시되고 국어와 수학에 선택과목이 도입되는 등 큰 변화가 있다. 이번년도 국어에서는 공통과목 외에 ‘화법과작문 ‘언어와매체 등 두 과목 가운데 두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수학에서도 공통과목 외에 ‘확률과통계 ‘미적분 ‘기하 등 세 과목 중 두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수학의 경우 이과 학생은 미적분이나 기하를 고르는 경우가 많고 문과는 확률과통계를 결정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보여지고 있다. 결국 이번 모의평가 결과는 수학을 비롯해 국어 영역까지 선택과목 확정에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종로학원하늘교육 관계자는 “8월 평가원 모의고사는 선택과목을 최후 고르는 사실상 마지막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며 “이번년도 수능 원서응시는 3월 18일부터 12월 6일까지다. 9월 모의평가는 10월 8일 실시되지만 정작 성적 결과는 12월 말에 나오기 때문”이라고 이야기 했다.
10월 모의평가에 재수생들이 가세하면서 문과 고3 시민들의 수학 5등급 비율이 얼마나 더 떨어질지도 관심이 가는 대목이다. 상태에 따라서는 수학 8등급에서 문과 고3 사람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6% 이하까지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종로학원 직원은 “수학 가형(이과)과 나형(문과)로 분리해 실시했던 지난해 수능에서는 이과생들이 본 수능에서 수학 나형으로 변경해 시험을 치르는 케이스가 많았다”며 “이번년도 4월, 9월 학력평가에서 동일한 원점수를 받고도 이과 시민들이 공통과목에서 문과 시민들보다 표준점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번 9월 모평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온다면 문과 노인들이 전략적인 역선택을 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년도부터 약대 선발이 신설됐고 정시가 확대되는 등의 효과로 이과 반수생들이 얼마나 많아질지도 변수가 될 전망이다. 이는 쉽사리 이과 점수에만 영향력이 끼치는 것이 아니라 문과 수학에서도 위험한 영향력이 발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위권 이과 학생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종로학원은 “12월 모평은 선택과목 최종 확정에 마지막 지표가 될 것”이라며 “변화된 수능에서 수험생까지 가세할 경우 위치 변화가 어느 정도일지 가늠해야 한다. 특히 수학에서 문·이과 학생이 같이 보는 공통과목의 중요도를 다시 한번 수치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로 요번 모평을 활용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하였다.